어쩌다어른 스타작가, 고명환, 기존의 틀을 깨고 작가가 되다.


학교 다닐때는 일기, 숙제도 안했다는 고명환.

공부말고 미팅으로 1등을 했다고 해요.

꿈에서도 생각하지 못했던 길. 





도서관에서 책을 읽던 어느 날, " 나도 쓸 수 있겠는데? " 

그리고 데미안 첫 문장.... 내 속에서 솟아 나오려는 것, 그것을 살아보려 했다.

내 안의 나를 깨울 수 있었던 이유.





재즈바와 카페를 운영했던 무라카미 하루키,  부업이 번역이죠.

문득 든 생각이 " 나 소설을 써볼까?"

무라카미 하루키의 데뷔소설은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1979년 발표하고 3개월만에 집필한 책입니다. 

나도 하루키처럼 책을 써볼까?!




자신의 경험을 발판으로 작가의 길에 첫 도전합니다. 

" 고전이 답했다" 출간 3개월 만에 10만 부를 판매,  




보통의 사람들과 명환의 50대가 달랐던 이유는  독서를 통해 나의 세계가 확장된 것. 




쌓이는 책의 양과 수입이 정비례하고 있다고, 

생각의 한계를 깨니 수입의 한계도 없어졌다고 하네요. 






사고의 족쇄, 고정관념을 깨는 방법은??!

망치를 든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

고정관념에 휘둘리지 않는 방법은 독서입니다. 

고정관념은 나를 가두게 됩니다. 




배우 조민수가 명환에게 한 부탁이 있는데?

흙수저라며 스스로 만든 한계가 조민수는 금보다는 흙이 위대하다고 생각한다고, 금은 더 나아질 가능성이 없는 반면, 생명을 틔우는 흙의 가능성은 무한대라고.

흙 속에 숨겨져 있던 빛나는 금.  고정관념을 깨면 무한한 가능성이 열린다. 

고정관념때문에 하지 말아야 할 이유부터 찾는 습관들이 있는데,  작가가 될수 없는 101가지 이유를 대죠.
 핑계 댈 시간에 새로운 방향을 찾아보자!

우리는 새벽 3시, 눈에 오고 대중교통이 끊겨도 우리는 집에 가고야 말잖아요?! 누구나 경험하는 눈 떠 보면 이미  집이죠. 

출처: 어쩌다 어른



댓글 쓰기

0 댓글